분류 전체보기129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 비고츠키 비고츠키 - 러시아 유대인가정에서 태어남 - 샤니아프스키 시민대학에서 문화, 철학, 심리학, 예술등을 공부 / 영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해 연구 - 지병인 결핵으로 1934년 사망 (38세) - 대표저서 : 사고와 언어 1934년 출간 - 영유아발달에서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을 강조 ==>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이론 1) 주요개념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 지식 구성 강조 - 사회적 차원에서 유아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 - 인지적 발달이 앞선 유능한 또래 혹은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중시, 사회의 문화와 역사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 강조 - 근접발달영역, 비계설정, 언어와 인지발달등이 주요개념 (1)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 2022. 4. 20.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대표적 인지발달 이론가 : 피아제(J.Piaget 1896 ~ 1980) 와 비고츠키(L.S. Vygotsky, 1896 ~ 1934) - 유아의 주의 집중, 기억, 계획, 추론, 문제해결 등의 정신활동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변화의 기제는 무엇인지 설명 피아제 - 스위스 태생 / 10세에 백변종 참새 논문 / 21세에 동물학 박사학위 - 유아심리와 정신발달에 대한 과학적 연구 - 파리의 비네(A. Binet) 실험실에서 아동용 지능검사를 개발 / 오답에서 일정한 유형 발견 / 표준화 검사보다는 관찰이나 개방적 임상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해 유아의 사고 특징을 연구 - 1925년 유아기에 나타나는 인지적 변화에 대해 연구 / 1940년대 초부터 수학적 과학적 개념 형성에 대한 이해에 중점- 아동.. 2022. 4. 19.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이론 - 인간 무의식의 존재와 영향력을 가정하며 인간의 욕구와 감정등의 내면 세계를 설명 - 프로이트 (S. Freud, 1856 ~ 1939) : 심리정석 발달이론,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의 이동에 따른 5단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제시 - 에릭슨 (E.H.Erikson, 1902 ~ 1994) : 프로이트의 발달단계를 8단계로 확대, 리비도 보다는 사회문화적 영향에 의한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이론을 발전시킴 프로이트 - 체코슬로바키아 모라비아 출신 / 유대인 가정 / 오스트리아 빈에서 성장 - 심리적 장애가 신체적 형태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아(hysteria) 연구 / 브루어 (j. Breuer) 연구실에서 최면요법 연구 -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 편안한 상태에서.. 2022. 4. 18. 우리나라의 유아관 전통적인 관점 - 우리나라는 태어나면 1세로 성장 : 태아기 중시하는 경향 - 유아를 수동적인 존재로 봄 : 장유유서의 질서 수행등의 유교적 전통사회 - 성별과 신분에 따른 사회적 역할 차이 : 여성, 남성, 문인 중인 상인등의 신분에 적합한 기술 습득 중시 현대적 관점 - 1920년대 이후부터 유아 존중하는 유아관이 나타남- 1989년 UN - 놀이 권리 보장 명시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발표, 우리나라포함 196개국이 이를 실천 - 유아를 성인과 동등하다고 생각, 유아가 누려야 할 권리 종중 - 유아는 주변환경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발달을 이루는 존재- 유아의 독특한 사고특성과 발달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 - .. 2022. 4. 7. 유아발달의 철학 및 역사적 관점 서양의 유아관 고대및 중세 1. 고대 - 아동은 잠재적 노동력을 가진 존재 또는 대를 잇기 위한 존재 - 가정과 사회의 부산물 일뿐 관심을 가지고 보호해야 할 대상이 아님 * 플라톤 * - 건강한 성인으로의 성장을 위해 유아기가 중요하다고 인식 - 인간발달의 세가지 요소로 욕망, 정신, 신성을 제시.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내적요소가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달이라고 함. - 출생시부터 6세까지 : 관찰과 동화, 신화중심의 교육이 중요 - 놀이, 스포츠, 음악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기름 - 덕 (Arte) : 인간의 모든 능력이 이상적으로 발휘되어 완성되는 것, 국가를 통해 실현 - 유아교육을 그 자체의 목적보다는 국가발전을 위한 .. 2022. 4. 1. 발달 연구 방법 1. 연구목적 : 발달 연구의 4가지 목적 - 유아발달의 양상과 특성을 기술, 설명, 예측하고 통제 및 적용하기 위한 것 - 유아발달 연구 결과는 유아의 발달특성을 이해하도록 돕고, 유아의 최적의 발달을 위한 양육 및 교육의 실제에 기여 1) 기술 - 유아가 보이는 발달적 특성과 변화를 있는 그대로 기술(Description)하는 것 - 연령별 평균 발달수준을 알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특정 유아의 발달수준에 대한 상대적 평가 및 개인차를 파악 할수 있음 2) 설명 - 유아가 나타내는 행동이나 현상에 대한 결정요인이나 선행조건을 밝혀 설명(Explanation)하는 것 -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변화에 대한 설명은 다양한 발달이론으로 발전 3) 예측 - 발달을 예측 (Prediction) - 피아제 이론에.. 2022. 3. 29. 이전 1 2 3 4 5 6 7 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