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3 다양한 동기이론들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왓슨의 행동주의적 이론, 웨이너의 인지주의적 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적 이론, 매슬로우의 인본주의적 이론 1. 동기의 의미 - 인간 행동의 개인차, 인간행동의 독특성을 이해하는 원천으로서의 동기란 무엇인가? 1) 동기란 ? - 동기 = 욕구(need; 하고 싶은 마음) + 추동(drive :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는 힘) '무언가를 하고 싶어하는 마음(욕구)을 행동으로 나타나게 만드는 힘 - 동기와 욕구는 서로 혼용해서 사용한다. : 용구라는 말 속엔 그것을 행동화 하는 의미까지 포함 2. 다양한 동기이론 - 인간을 움직이는 힘에 관한 다양한 관점 이론 cf) 정신분석이론 -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본능이다. - 본능 : 삶의 본능 (eros) - 영원히 살고 싶다는 본능 = 생식/종족번식/성 죽음의 본능 (thanatos) - 자연의 상태, 무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본능 = 공격본능 1.. 2020. 4. 29. 루소의 백지설과 콘라드 로렌츠의 각인현상등 인간이해에 대한 관점및 인간형성의 특징 1. 인간이해의 관점 1) 과학적 이해 이전의 관점 - 성악설 : 인간은 본질적으로 악한 존재이다. (동양 - 순자, 서양 - 성 아우구스틴, 루터, 칼빈) --> 교육은 악한 존재인 인간을 올바르게 인도하기 위한 활동이다. --> 정신분석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신분석에서 인간을 움직이는 가장 중요한 힘 : 삶의 본능 - 성본능, 죽음의 본능 - 공격본능) - 성선설 :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한 존재다. (동양 - 맹자, 서양 - 루소) --> 교육은 인간의 선한 마음이 발현될 수 있도록 조력하는 활동 --> 인본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정신분석 행동 주의 --> 인본주의 탄생(1960년) - 백지설 :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악의 평가가 가능하지 않은 백지와 같은 존재이다. (동양 - 고자, .. 2020. 4. 26. 교육심리에서의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1. 교육의 개념 - 敎 : 지식/기술 - 育 : 태도, 품성 - 학문적 이해 : 학자에 따라, 그리고 관점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가능 2. 교육의 정의 1) why? 목적에 따른 정의 (1) 사회 문화의 계승 및 발전의 수단으로서의 교육 --> 문화유산의 전수, 사회화 (2) 사회 문화의 계승 및 발전의 수단으로서의 교육 --> 국가 발전 및 경제발전의 수단 (3) 개인의 잠재가능성의 실현과 민주적 인격 개발을 위한 교육 2) what ? 내용에 따른 정의 - 지식의 구조와 교과의 교육, 경험, 태도, 품성, 진선미의 육성 3) how ? 방법에 따른 정의 - 정범모 교수 :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 - 의도성, 계획성 3. 교육에 관한 활동을 위한 선행 질문 - "인간에 대한 질문" 1) 인.. 2020. 4.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