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음악교육3

노래를 통한 유아음악교육활동 1. 노래 부르기 활동의 의의 (중요성과 목표) 1) 유아기의 노래부르기 활동 - 노래활동 초기, 유아들은 본래의 자기보다 강한 표현을 하기도 하지만 점차 선율의 아름다움과 노래하는 기쁨을 체험 2) 노래부르기 활동의 교육목표 (1) 스스로 감정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을 기른다. (2) 유아의 인지능력, 언어능력, 창의력을 향상시킨다. (3) 함께 노래하며 협동정신과 사회성을 기른다. (4) 음악적 감동을 경험하면서 정서와 음악성을 발달시킨다. 3) 노래를 통한 유아음악교육활동의 목표 - 노래부르기를 통해 다양한 자기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아가 알게하기 - 음악속의 아름다움을 유아가 체험하기 2. 노래곡 선정원리 (선율, 리듬, 노랫말) 1) 노래 선율 선정원리 (1) 유아의 음역안에서 음의 도약이 무.. 2020. 11. 21.
고든 음악교수법 1. 고든의 음악교육철학 이해 1) 에드윈 고든(Edwin Gordeon, 1927~ ) - 고든 음악교수법의 창시자로 음악적성과 음악학습이론등 영유아 음악교육에 연구와 업적을 남긴 미국 음악교육자 : 아동중심의 음악교육 = 음악 학습이론 - 유아기에는 악보 읽기 보다는 소리에 대한 민감성, 음악적 인식력, 마음에 새겨듣는 태도 등을 통한 음악적성 교육이 더 바람직 : 음악 감수성 발달에 적합한 교육 - 최적의 음악적 환경을 조성해주면, 음악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음악적성은 자연스레 개발 : 소리에 대한 경험이 위주가 되는 음악교육 2) 고든의 음악교육철학 (1) 음악적 모국어 학습과정을 통해 오디에이션능력을 향상한다. (2) 노래와 찬트를 사용하여 음악적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3) 음악놀이를 통하여 포.. 2020. 11. 18.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 (방송통신대학 유아교육강의) 1. 유아의 음악성 발달 요인 1) 유전적*생물학적 요인 2) 환경적*교육적 요인 2. 유아의 영역별 음악능력의 발달 1) 음악듣기 능력 2) 노래부르기 능력 3) 신체표현능력 4) 악기연주능력 5) 음악창작능력 음악 적성의 특성 1. 정상인이라면 누구나 음악적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2. 타고나는 음악적성은 사람마다 각각 다르다. 3. 음악적성은 타고나는 것 이상으로, 환경적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어릴수록 음악적 자질에 미치는 환경적 요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4. 9세 이전에 음악적성은 고정적으로 형성된다. 음악적성 발달의 중요시기 (Gordon) - 태어나서 18개월까지 - 3~5세 유아기가 음악성발달의 중요시기인 이유 - 유아는 자기와 주변 세계에 대해 호기심이 많고 음악의 모든 것을 발견.. 2020.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