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

지능의 양적 발달(베이리의 연구)과 질적 발달 (피아제 이론)

by Brilliant Kids 2020. 4. 28.
반응형

1. 지능의 양적 발달

- 베이리(Bayley)의 버클리 성장 연구

- 지능발달에 역가속 현상이 있으며,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각 단계의 지능의 변산도가 점점 커진다는 것을 보여줌.

블룸 (Bloom) : 아이들의 발달이 100% 발달하는 것을 17,18세로 가정하고, 지능의 변화를 연구 = 역가속 현상

▼ 베이리의 성장연구 결과

① 지능의 발달은 역가속 현상이 있다. 출생 후 초기 수년에 걸쳐서 가장 크게 변화한다.

②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각 단계의 지능의 변산도가 점점 커진다. (변산 - 점수의 흩어진 정도, 분포의 흩어진 정도)

③ I.Q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 성장하고 발달

커텔 (Cattell) - 인간의 지능은 결정성 지능과 유동성 지능으로 나뉘는데 결정성 지능은 20세 이후에도 경험과 학습을 통해 계속 발달

④ 연령수준에 따라서 지능에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가 다르다.

 

2. 지능의 질적 발달

- 피아제이론 : 임상적 관찰

 

지능의 기능적 측면

동화 (assimilation) : 외부 요소를 내부구조 속으로 통합

조절 (accommodation) : 환경적인 영향의 결과로 개인의 조직이 수정되어 가는 과정

==> 동화와 조절은 전생애에 걸쳐 나타나며, 기능적으로 변하지 않고, 그 둘의 균형상태(equilibrium)를 추구한다.

지능의 구조적 측면

도식 (scheme, schema) : 유기체가 외계의 사물을 인지하고 대응하는데 사용하는 지각의 틀, 반응의 틀, 세상 바라보는 눈을 말함

 

- 발달 단계별 특징

① 감각동작기 (0세 ~ 2세)

▷ 언어가 발달하기 전으로서 주로 감각 - 동작에 의한 학습을 함

▷ 반사적 행동 (0~12개월) / 협응 능력의 발달

▷ 마지막 시기에 오면 대상항구성 (눈앞에서 물체가 사라지더라도 그것이 다른 어디엔가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 으 개념을 발달 시킴

 

② 전조작기 (2~7세)

▷ 언어의 발달

▷ 자기 중심성 (egocentrism) : 이기주의, 자기중심적이다. 성인들의 자기중심성과 달리 남들을 생각하지 않고 오직 나의 것만을 주장하는 것

▷ 중심화 (centration) : 어떤 사물의 한 측면에만 유난히 주의를 집중하는 것. 색깔과 재료중 하나만 인식한다.

▷ 불가역성(irreversibility) : 거꾸로 돌릴 수 없다.

 

③ 구체적 조작기(7~11세)

▷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고 가역성의 획득

▷ 언어의 복잡화

▷ 사고의 사회화의 특징을 보임

 

④ 형식적 조작기 (12~ 18세)

▷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고 사물의 인과관계를 터득함

▷ 가설검증력, 추리력, 응용력, 종합적 사고의 발달

 

※ 최근 학자들은 후 형식적 조작기가 있다고 주장함

 

3. 창의력의 계발과 교육

1) 겟젤스와 잭슨 (Getzels & Jackson)의 연구

▷ 고지능집단과 고 창의력 집단을 골라내어 그들을 비교하는 연구

▷ 높은 지능을 소유한 집단과 높은 창의력을 소유한 집단의 학업성취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교사는 창의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IQ 가 높은 학생을 선호함.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은 관행과 관습에 동조하지 않는 경향이 강해서 교사가 원하는 학교학습의 풍토와 곧잘 어긋나기 때문.

- 창의와 창조 : 창의는 새로운 가치있는 것을 만들어내려는 의지와 힘, 창조란 새로운 가치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과정과 결과의 뜻이 강하다.

 

2)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학설

(1) 천부론 : 창조적 천재들의 독특한 능력은 하늘이 내린것.

 

(2) 정신분석학적 견해 : 프로이트 (Freud, 1856~1939)

- 의식, 무의식의 이론으로써 창의적 활동을 설명, 일차적 사고과정(무의식적 사고과정) 속에서 잉태된다는 것.

- 승화작용 : 문필가나 예술가의 창의적 활동이란 그의 개인적인 무의식 세계 속의 욕망을 사회적인 의식의 세계가 받아들일 수 있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

- 승화작용은 인간의 창조활동의 근거가 된다.

 

(3) 심리측정론의 주장 - 길포드(Guilford)

- 창의력을 구성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능력들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 그 능력들은 천재 같은 특출한 인물에게만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

- 창의력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기본적인 능력 :

문제에 대한 민감성 (Sensitivity)

아이디어 산출의 '유창성(Fluency)'과 '독창성(originality)'

사고의 '유연성(flexibility)'

= "확산적 사고 (divergent thinking)"

 

(4) 인지론적 해석 - 와이즈버그 (Weisberg)

- 창의력은 특수한 천재적 재능도 아니고 단지 새로운 문제해결 능력에 불과하다는 것

 

(5) 사회체제론적 접근 - 가드너(Gardner),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

- 개인의 창의적 능력, 성격, 동기, 사고과정만이 아니라, 그의 주변의 여러 사회 체제의 특성도 창의적 활동과 업적의 출현에 크게 관계된다고 보는 관점

3) 창의력의 계발과 교육

- 오스본의 브래인 스토밍 프로그램

▷ 모든 사람은 다 창의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의 사고에는 판단적(Judicial) 사고와 창의적(creative) 사고가 있다.

- 드보노(De bono) 의 프로그램

▷ 드 보노는 사고력을 종적(vertical) 사고(비판적, 수렴적 사고)와 횡적(lateral) 사고(창의적, 확산적 사고)로 나눈다.

 

※ 창의력을 기르는 첩경은 없다. 그저 꾸준히 아이들의 호기심과 상상을 자극하고, 자율과 자기관리 능력을 배양해 주면서 가끔 망중한의 시간을 마련해 주는 길 뿐이다.

- 출처 : 방송통신대학 교육심리학 방송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