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에 해당되는 글 21건



  1. 2024.11.10 |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정리 - 조성과 음계
  2. 2024.11.08 |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정리 - 마디와 박자표 1
  3. 2022.04.20 |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 비고츠키 1
  4. 2022.04.19 |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5. 2022.04.18 | 정신분석이론
  6. 2020.11.24 | 창작을 통한 유아 음악교육활동


반응형

조성과 음계

조성과 관계조 

  • 조성 : 어떤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음계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곡의 성질 
  • 장음계는 3~4음과 7~8음이 반음, 자연단음계는 2~3음과 5~6음이 반음인 음계로 구성
  • 조: 으뜸음이 다르고 반음이 징행되는 음렬이 달라 생기는 조성과 으뜸음과의 관계 
  • 조를 적는 방법 : 장조는 대문자, 단조는 소문자로 표기 
  • 평행조 : 으뜸음이 단 3 도 아래에서 평행된 음계를 가지는 경우의 두 조를 나라난 조 혹은 평행조라고 함 
  • 같은 으뜸음조 : 으뜸음이 같은 경우의 두 조 를 같은 으뜸음조 혹은 동명조라 함 
  • 관계조 : 근친관계에 있는 조 

다장조의 관계도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반응형

G장조와 F 장조의 관계조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조율과 조바꿈 

  • 조옮김 : 연주에 따라 악곡 전체를 높이거나 낮춰 다른 조로 곡 전체를 옮기는 것
  • 조옮김 방법 : 새로운 조의 조표를 적고, 원조와 새로운 조의 의뜸음에 대한 음정을 조사한 후, 각 음을 그 도수만큼 옮기고, 올림표, 내림표, 제자리표를 새로운 조에서 어떻게 붙일 것인지 결정하는 것 
  • 조바꿈 : 곡의 중간에서 원조가 다른 조로 바뀌는 것 
  • 조바꿈 방법 : 임시표 사용할 경우, 비교적 오랫동안 조바꿈을 위해 새로운 조표를 사용할 경우, 임시표와 조표의 변화없이 평행조로 조바꿈이 이루어지는 경우 

마장조 / 바장조 / 사장조 / 가장조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 반주 교재)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반응형
 

반응형

세로줄 (Bar Line)과 마디 (Measure)

세로줄 : 셈여림을 정하기 위해 긋는 곧은 줄 

  • 한줄 세로줄 : 한줄로 이루어진 세로줄
  • 겹세로줄 : 두 줄로 이루어진 세로줄 
  • 끝 세로줄 : 끝이 더 진하게 된 두 줄로 이루어짐 

마디 : 세로줄로 구분되는 사이로 흐름의 규칙성을 보기좋게 나누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함 

세로줄과 마디 (photo from google image)

박자 (Time) 

  • 음의 셈여림이 일정 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 동일한 시간내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질서있는 음의 배열 
  • 홑박자 (Simple time) 
  • 겹박자 (compound time) 
  • 혼합박자 (Peculiar time) 

박자의 종류

종류 홑박자 겹박자
2박자계 2/2, 2/4, 2/8 4/6, 6/8, 6/16
3박자계 3/2, 3/4, 3/8 9/4, 9/8, 9/16
4박자계 4/2, 4/4, 4/8 12/4, 12/8, 12/16

* 5/4, 5/8, 7/4, 7/8 ==> 혼합박자 (Peculiar Time) 

박자에 의한 강약

박자에 의한 강약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강박과 약박

강박과 약박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박자표 (Time Signature)

박자표 : 박자를 나타내기 위해 악곡의 첫머리에 있는 숫자로 분수모양이나 기호로 표시함, 3/4 박자의 경우 4분음표를 한박으로 한마디 안에 3박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 

박자 젓는 법 

박자는 동일한 것이 기계적으로 나열되며 생기는 빠르기

리듬은 변화와 다양성을 특징으로 함 

반응형

박자 젓는 법 

박자 젓는 법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센내기와 여린내기 

센내기 : 완전한 마디에서 시작해 완전한 마디로 끝나며, 첫박이 센 박으로 시작되는 것 

여린내기 : 못갖춘마디로 시작하여 못갖춘마디로 끝나며, 첫박이 여린내기로 시작되는 것, 제일 앞 세로줄 앞 부분은 첫째마디로 세지 않는다. 첫째 못갖춘 마디와 마지막 못갖춘 마디를 합하면 완전 갖춘마디가 됨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반응형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 비고츠키

유아교육 | 2022. 4. 20. 11:56
Posted by Brilliant Kids

반응형

비고츠키 

비고츠키 (출처: 위키백과)

- 러시아 유대인가정에서 태어남 

- 샤니아프스키 시민대학에서 문화, 철학, 심리학, 예술등을 공부 / 영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해 연구 

- 지병인 결핵으로 1934년 사망 (38세) 

- 대표저서 : 사고와 언어 1934년 출간 

- 영유아발달에서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을 강조 ==>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이론 

1) 주요개념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 지식 구성 강조 

- 사회적 차원에서 유아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 

- 인지적 발달이 앞선 유능한 또래 혹은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중시, 사회의 문화와 역사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 강조 

- 근접발달영역, 비계설정, 언어와 인지발달등이 주요개념 

(1)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 유능한 또래나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제해결이 가능한 인지발달영역을 말함

- 유아가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실제적 발달수준과 주변인의 도움으로 성취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차이 

- 유아의 인지발달 촉진을 위해 근접 발달영역의 경험을 많이 제공하는 것이 중요

 

비고츠키의 근접 발달영역 (출처: 위키백과)

(2) 비계설정 (Scaffolding) 

- 유능한 또래나 성인이 유아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 유아가 스스로 문제해결시 비계 제거

- 성인이나 교사는 유아가 가진 학습능력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개별 유아에게 적절한 비계 설정

- 주도성과 자율성을 기르도록 지원

(2) 언어와 인지발달 

-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 언어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 / 언어는 사고의 도구로서 사고의 발달에 기여  

- 언어는 유아의 인지적 세계와 특정한 사회문화적 세계를 매개하는 도구

- 혼잣말 : 문제해결의 방향을 안내하는 과정이라고 봄 / 자기 통제, 자기 조절의 역량 강화에 기여 

- 2) 비고츠키 이론의 평가 

- 사회문화적 맥락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새로운 학문적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

- 사회를 통해 전달받는 문화, 가치, 신념등의 중요성에 주목 

-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의 개념 제시 / 유아와 환경의 상호작용 및 성인의 역할의 중요성에 주목

- 인지발달에서 근접발달영역 내에서 도움을 주는 성인의 역할과 비계설정의 중요성을 제시

- 유아의 인지발달의 개인차 / 다른 문화속에 속해있는 유아들 간의 인지발달 차이에도 관심 

비판 >>

- 인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을 간과 / 성숙에 의한 학습 준비도 등의 개념은 언급하였으나, 생물학적 요인 

- 과학적 검증이 어려운 모호성을 지님 / 근접발달영역이 측정된다 해도 유아학습능력 판단 불가 

- 구체적 정보를 구할 수 없다는 한계 

728x90
반응형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유아교육 | 2022. 4. 19. 12:32
Posted by Brilliant Kids

반응형

대표적 인지발달 이론가 : 피아제(J.Piaget 1896 ~ 1980) 와 비고츠키(L.S. Vygotsky, 1896 ~ 1934) - 유아의 주의 집중, 기억, 계획, 추론, 문제해결 등의 정신활동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변화의 기제는 무엇인지 설명 

피아제 

- 스위스 태생 / 10세에 백변종 참새 논문 / 21세에 동물학 박사학위 

- 유아심리와 정신발달에 대한 과학적 연구 

- 파리의 비네(A. Binet) 실험실에서 아동용 지능검사를 개발 / 오답에서 일정한 유형 발견 / 표준화 검사보다는 관찰이나 개방적 임상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해 유아의 사고 특징을 연구 

- 1925년 유아기에 나타나는 인지적 변화에 대해 연구 / 1940년대 초부터 수학적 과학적 개념 형성에 대한 이해에 중점

- 아동 심리학 분야에서만 40권 이상의 저서와 100편 이상의 논문 발표 

1) 기본개념 

(1) 도식(scheme) 

- 도식은 인지적 구조 (이해의 틀)로 사고나 행동의 조직화된 패턴 

- 유아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ㅇ경험하는 것을 기반으로 형성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분화되고 복잡해지는 질적 변화를 보임 

(2) 동화(assimilation) 와 조절(accommodation) 

- 동화 : 새로운 자극이나 정보를 자신이 가진 인지구조에 맞춰 해석 하고 수용 

- 조절 : 자신의 인지적 도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외부자극과 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자신의 인지적 도식을 변형하는 과정 

(3) 평형화(equilbration) 및 적응(adaptation)

- 평형화 : 유아는 동화와 조절을 통해 외부의 자극과 자신의 인지적 도식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과정 

- 적응 : 유기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외적 세계와 인지적 도식 사이에 평형화를 이루어가는 과정 

피아제 개념의 도식화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2) 인지발달단계 

단계 연령 특성
1단계
감각운동기
출생 ~ 2세 - 대상 영속성
- 선천적 반사행동
- 감각경험과 신체활동을 통해 외부 세계 인식
2단계 
전조직기
2~7세 - 자기 중심성 / 상징적 표상능력 / 직관적 사고 / 유목포함 개념 부족 
- 언어발달, 상상놀이 시작 / 상징과 내적 이미지를 사용한 사고 
- 보존개념 부족 / 물활론적 사고 / 서열화 개념 부족
3단계 
구체적 조작기
7~11세 - 보존개념 획득 / 서열화, 유목화 가능 / 조망수용능력 습득 
- 구체적 문제해결 / 탈자기 중심적 사고 / 가역적 조작 가능
4단계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후  - 논리적, 추상적 사고 
- 과학적 사고 가능 
- 복잡한 가설적 과제에 대한 문제해결 가능

(1) 감각운동기 (sensorimotor period)

- 출생부터 2세까지 

- 하위 6단계로 구분 

단계 특성
반사기 - 출생 ~ 1개월 / 외부환경자극에 반사적 반응 
- 최초의 인지적 도식이 반사행동으로부터 형성 / 보기, 쥐기, 빨기등의 행동을 통해 외부자극에 반응
- 순수한 반응행동
1차 순환반응 - 1~4개월 
-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다가 우연히 흥미로운 활동을 하고 이를 반복하는 단계 
2차 순환반응 - 4~8개월
- 자신의 신체로 몰려있던 관심을 외부세계로 돌려 외부 대상에 대한 반복적인 행위를 하는 단계
2차 도식의 협응 - 8~12개월
- 목적을 위해 의도적 행동을 나타내는 단계 
- 목적달성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계획하고 조작하여 실행 
- 목적달성을 위해 외부 도식을 수단으로 이용하는 도식 협응적 행동
3차 순환반응 - 12~18개월
- 다양한 행동 시도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단계 
- 공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행위를 시도해봄으로써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과 인지적 도식을 발전 시킬 수 있음 
- 능동적인 행위의 시도를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해 스스로 학습
상징적 표상 - 18~24개월
- 내적 표상능력이 발달 / 행동전 먼저 사고하는 단계 
- 타인의 행동관찰 / 내적 상징적 표상으로 간직 하다 일정시간 후에 행위로 표출하는 자연모방

- 하위 6단계를 거치며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 개념획득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 2~7세 

- 유아의 정신적 표상능력이 발달  / 논리적, 조작적 사고에 어려움이 있는 사고의 한계를 가짐 

- 유아의 상징적 활동이 증가 / 직관적인 사고의 특징 / 자아중심적인 사고 /물활론적 사고 

① 상징적 활동의 증가

② 직관적 사고 - 보존개념, 서열화, 분류, 유목화 실험 

피아제의 보존과제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서열화 개념의 발달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유목포함 실험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③ 자아중심성 

- 외부세계를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것 

- 피아제의 세산모형실험 - 타인의 조망을 수용한 조망수용능력이 획득되지 않음을 보여줌 

피아제의 세 산 모형 실험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④ 물활론적 사고 (animism) 

- 생물과 무생물을 퐇마한 모든 사물이 살아있고, 감정이나 의도를 가졌다고 생각함. 

- 연령증가에 따라 생명에 대한 지식 축적되고 물활론적 사고특성은 사라짐

물활론적 사고 (출처: 방통대 교재 유아발달)

(3) 구체적 조작기 ( concrete operational period) 

- 7~11세 

- 보존 개념 획득 / 타인의 관점을 수용하는 탈중심화 - 조망수용능력 획득 / 서열화 및 유목화 개념 발달 / 추상적 가상적 대상에 대한 논리적 사고에 한계가 있음 

(4)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period) 

- 추상적 가상적 세계에 대한 논리적 사고 가능 

- 추론적 가설적 사고가 가능 / 가설 연역적 사고도 가능 / 추론적, 체계적 사고

- 대부분의 청소년이나 성인에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특성이 일관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3) 피아제 이론의 평가 

- 과학적으로 수행되지 않음 

- 유아에게 부적절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인지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함.

-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간과 

- 유아의 인지발달이 인지영역별로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간과

 

728x90
반응형
 

정신분석이론

유아교육 | 2022. 4. 18. 11:44
Posted by Brilliant Kids

반응형

정신분석이론 

- 인간 무의식의 존재와 영향력을 가정하며 인간의 욕구와 감정등의 내면 세계를 설명 

- 프로이트 (S. Freud, 1856 ~ 1939) : 심리정석 발달이론,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의 이동에 따른 5단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제시 

- 에릭슨 (E.H.Erikson, 1902 ~ 1994) : 프로이트의 발달단계를 8단계로 확대, 리비도 보다는 사회문화적 영향에 의한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이론을 발전시킴 

프로이트 

- 체코슬로바키아 모라비아 출신 / 유대인 가정 / 오스트리아 빈에서 성장 

- 심리적 장애가 신체적 형태로 나타나는 히스테리아(hysteria) 연구 / 브루어 (j. Breuer) 연구실에서 최면요법 연구 

-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 편안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떠오르는 것을 말하는 방법 

- 1897년 어린 시절의 기억과 자신의 꿈을 토대로 자기분석 시작,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등 정신분석 기초 정립 

- 1900년 '꿈의 해석' 발간 / 1939년 83세의 나이로 런던에서 사망 

-  프로이트의 핵심 주장 : 성격의 구조, 방어기제, 심리성적 발달단계 

1) 성격의 구조 

- 의식 (Consciousness) : 물 밖에 떠올라 있는 빙산의 작은 부분 / 주의를 기울이면 알아차릴 수 있음

- 전의식 (Preconsciousness) : 물 밖으로 떠올랐다 잠겼다 하는 부분 / 과거의 경험 등 

- 무의식 (Unconsciousness) : 빙산의 거대한 부분 / 인간의 충동이나 본능 / 대체로 의식 못함 

프로이트의 성격 구조 (출처: 방송통신대 교재 유아교육)

- 원초아 (id) : 무의식에 존재 / 영유아가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떼를 쓰는 경우 / 쾌락 추구

- 자아(ego) : 대부분이 의식에 존재/ 전의식의 일부에도 존재 / 원초아의 욕구와 초자아의 억압을 적절히 중재하여 균형을 이루는 역할 

- 초자아 (superego) : 무의식에 존재 / 양심(conscience)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처벌과 비난 의 경험으로 인해 생기는 죄책감) 와 자아이상(ego-ideal) (자신의 잘한 행동에 대한 칭찬과 보상의 경험으로부터 생기는 자부심) 로 구성 / 내면화된 양심과 자아이상은 유아의 행동을 감독, 규제, 초자아는 기능 총괄 

원초아 (id) - 식욕, 성욕, 공격욕 등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본능적 충동 및 욕구
- 충동이나 욕구를 즉각적으로 만족, 고통 회피, 쾌락 추구 (쾌락원리) 에 의해 작동 
- 원초아의 쾌락 추구 과정 
   반사로 자극에 반응 → 환상등의 1차 사고과정을 통해 현실적으로 충족 불가한 욕구 충족 
자아(ego) - 현실상황을 고려해 이성적인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성격의 합리적 부분 
- 원초아의 욕구 조절, 의식적 사고과정을 통해 판단하여 현실원리에 따라 해소하려 노력 
- 2차 사고과정 
초자아(superego) - 부모를 비롯한 주변 사람에 의해 형성된 도덕적 윤리적 가치가 내면화된 것
- 개인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끄는 역할 
- 3~4 세경에 이르러 발달 

2) 방어기제 

- 불안 : 자아가 조절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때 나타나는 갈등 → 방어기재 작동 

방어기제 설명 관련된 예
합리화
(rationalization)
진정한 이유나 동기를 감추고 다른 이유를 제시 여우와 신포도
억압
(repression)
용납할 수 없는 충동에 대한 무의식적 거부 친구에게 생일초대 못받은 경우, 자신이 그 친구를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것
전이
(displacement)
어떤 대상에 대한 에너지를 전혀 다른 대상으로 옮겨 충족 엄마한테 혼난 걸 인형에게 화풀이
동일시
(identification)
자신보다 우월하다 생각하는 태도, 신념, 가치 등을 자신의 성격에 흡수 좋아하는 사람의 생각, 사고, 가치, 태도, 행동을 따라함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용납되지 않는 충동이 상반되는 행동과 태도로 나타남 공격성 높은 아이가 역할놀이에서 경찰을 하려고 함. 
투사
(projection)
인정하고 싶지 않은 내부의 충동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림 자신의 잘못을 다른사람이나 사물 탓으로 돌림
부정
(denial)
외부현실, 내면의 욕구를 왜곡, 현실 부정하는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재 엄마에게 혼나면 엄마가 자신을 싫어한다고 생각함
승화
(sublimation)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발전된 형태 물에 빠진 경험을 수영으로 극복해 수영선수가 됨
퇴행
(regression)
새로운 문제에 봉착해 이전 발달단계의 행동을 하는 것 동생이 태어나자, 아기처럼 행동함 

3)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출생 ~ 1세)
- 리비도가 구강 부근에 집중되는 시기 
- 부족 혹은 과잉 시 구강기 고착현상이 나타남 -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뜯기, 과도 흡연, 과음, 과식, 수다
항문기
(2 ~ 3세)
- 리비도가 항문주위로 이동
- 배설물의 보유 및 배설이 가능, 자율적 항문활동으로 쾌감을 느낌 
- 생후 처음으로 본능적 욕구에 대한 통제를 받게되는 시기 - 욕구 지연 방법 습득, 적절한 보유와 배설에 대한 사회적 승인 경험 
- 항문기 고착 성격 특성 :
   a. 엄격한 배변훈련 : 고집이 세고 질서에 강박적 지나치게 청결한 항문기 강벅적 성향 
   b. 관대한 배변훈련 : 적개심, 파괴적이고 불결한 성격
남근기 
(4 ~ 5세)
- 리비도가 성기부분으로 이동 
- 남아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아버지와 동일시, 거세불안) / 여아 : 엘렉트라 콤플렉스 경험 (어머니와 동일시, 남근선망) 
- 남근기 고착현상 
   a. 남성 : 경솔하고, 항상 자신의 남자다움을 표출, 과시적이고 야심적인 성격 
   b. 여성 : 경박하고 성적으로 문란한 성격 
잠복기
(6~ 12세)
- 외형상 평온한 상태 유지 
- 사회적 기술 습득, 학업활동에 주력 /공격적, 성적 욕구 잠재움 / 지적 활동이나 스포츠등 사회적 활동 몰입
- 이성보다는 동성간의 관계를 선호하는 경향 
- 잠복기 고착 현상 : 성인이 되어서 이성과 안정된 관계 맺기에 실패, 소극적이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취함
성기기
(13~19세)
- 성적 에너지가 사춘기 이후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나타나는 시기
- 이성으로부터 성적 쾌감을 얻는 이성애착적 경향을 보임 
- 신체적, 생리적 성숙으로 인한 성적 충동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능력을 갖추게 됨
- 발달적 성취를 잘한 경우 : 협동적이고 이타적인 성숙한 특성
- 발달적 성취를 못한 경우 : 성적 에너지 처리에 미숙하며 권위에 적대적이거나 비행행동

4) 프로이트 이론의 평가 

- 유아의 성적 욕구를 지나치게 강조 / 성욕에 대한 가정과 설명은 타당성 인정을 못받음 

- 인간을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봄 / 인간 발달이 성욕에 의해 지배 / 생애 초 경험이 인간 발달에 큰 영향

- 리비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고착, 남근선망 등 과학적 검증 불가능 , 실체 조사나 측정 어려움 

- 가설과 개념들은 신경증 환자로부터 얻은 자료로 정상인이나 유아의 발달을 설명하는데 무리가 있음 

 

에릭슨 

-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남 / 25세에 프로이트의 딸 안나 프로이트와 같이 아동정신분석 연구 

1)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초점 / 8단계의 심리 사회적 발달단계를 제시 

(1)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출생 ~ 1세 ) 

 - 프로이트 발달단계 중 구강기에 해당 

 - 기본적 신뢰감을 형성한 영아는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타인과의 관계도 신뢰감을 바탕으로 맺을 수 있다. 

(2) 자율성 대 수치심 (2~3세)

 - 프로이트 발달단계 중 항문기에 해당 

 - 언어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짐 

 - 자율성 발달 / 주변 성인으로부터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행동 훈련 

 - 자율성 발현에 과도한 제재를 받으면 수치심이 발달 

(3) 주도성 대 죄책감 (4~5세) 

 - 프로이트 발달 단계 중 남근기에 해당 

 - 목표나 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그것을 성취하려 함 

 - 계획 실패나 부모에게 제지 당할 경우 유아는 죄책감을 갖게 되며 소극적 성격, 위축된 모습을 보임 

(4) 근면성 대 열등감 (6~12세) 

 - 프로이트 발달 단계 중 잠복기에 해당 

 - 아동은 읽기, 쓰기, 셈하기 등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 ,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경험 

 -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시기로 봄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13~19세) 

 - 프로이트 발달 단계 중 성기기에 해당 

 - 자아정체감을 형성, 자신의 존재, 위치, 능력, 역할, 책임 등을 분명하게 인식 

(6) 친밀감 대 고립감 (20세 ~ 성인기) 

 - 자기자신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사회적 존재로서 직업, 배우자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게됨

 -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음 

(7) 생산성 대 침체감 (중년기) 

 - 다양한 성취를 이루어내는 시기

 - 가정에서는 자녀 출산, 양육, 사회적으로 직업적 성취

(8) 통합감 대 절망감 (노년기)

 - 신체적으로 노쇠, 직업에서 은퇴, 배우자나 친구의 사망을 경험 

 - 자아통합 : 자신의 삶을 그대로 인정, 수용, 인생에 대한 통찰과 다가올 죽음까지도 수용할 수 있는 상태 

 2) 에릭슨 이론의 평가 

 -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 안에서 형성하는 발달과정을 잘 설명 

 - 인생의 초기 경험 중시,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음 

 - 이론에서 제시되는 개념들이 모호하고 근거제시가 부족, 과학적으로 검증이 어려움 

 

728x90
반응형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 비고츠키  (1) 2022.04.20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  (0) 2022.04.19
우리나라의 유아관  (0) 2022.04.07
유아발달의 철학 및 역사적 관점  (0) 2022.04.01
발달 연구 방법  (0) 2022.03.29
 

창작을 통한 유아 음악교육활동

유아교육 | 2020. 11. 24. 05:37
Posted by Brilliant Kids

반응형

1. 유아의 음악 창작 교육의 중요성과 목표

  1) 유아기 - 음악적 옹알이와 찬트를 보면 유아는 음악창작의 본능소유 -> 어린시기부터 '음악적 창의성'고려

   2) 음악적 창의성의 발달 과정

 연령

발달특성 

 0 ~ 2 세

 소리에 반응하며, 울음과 옹알이를 통해 음악적 행동을 한다.

 2 ~ 4 세

 들은 음악을 모방하여 하며, 선율의 윤곽을 구분하고, 음감이 개발되기 시작한다.

 4 ~ 6 세

 음역을 구분하고, 단순한 리듬을 듣고 리듬치기를 할 수 있다.

 6 ~ 8 세

 음정에 맞춰 노래하며 조성을 인식한다.

 화음을 변별하고 즐길 수 있다.

 

 

  3) 실현주의적 관점 : 음악적 창의성이 본질적인 음악성 발달에 의존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

    - 유아를 수동적 감상자로 보지 않고 음악을 적극적으로 실현해가는 음악학습의 능동적인 주체로 인식

  4) 음악창작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의 목표

   - 다면적인 특성을 지닌 음악성을 계발하여 교육,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인성교육을 도모

 

2. 음악창작활동 선정원리

  1) 발달의 적합성

   - 유아의 발달단계에 알맞은 곡과 활동 -->> 음악적 감수성과 창의력 개발

   - 유아기 : 신체적, 정서적, 음악적 발달순서에 따라 음악적 표현도 다양해지고 발전

 

  2) 다양성 : 다양한 음악소재, 방법으로 음악을 경험하게 하여 유아의 다양한 음악적 반응을 유도

 

  3) 상상력을 자극하는 내용

   - 창의성과 상상력의 자극 :

       * 유아의 흥미와 경험에 의한 연상 및 상상이 가능한 내용

       * 유아들이 창작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

 

3. 음악창작을 통한 음악교육방법

  1) 소리탐색과 창작

   - 유아에게 다양한 소리와 근원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

   - 유아들과 함께 소리를 탐색하고 창작하기를 진행할 떄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소리의 근원과 접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유아들에게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주변 사물을 통한 소리 탐색

   - 신체를 이용한 소리 만들기 (신체악기활동)

   - 항아리나 냄비, 문이나 탁자등 생활주변의 소재로도 소리를 탐색하고 창작

   << 활동 사례 >> -  소리탐색과 창작

     * 여러가지 소리를 탐색하고 다양한 소리를 창작 --> 호기심 자극

     * 유아의 음악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개발

 

  2) 노래를 통한 즉흥창작활동

   - 노랫말, 리듬, 선율을 이용한 노래창작활동

   << 활동 사례 >> - 진달래전* 국화전

     * 노랫말 바꿔부르기 활동 -->> 유아의 흥미 유도

     * 즉흥창작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개발

  

   - 리듬 즉흥 창작활동 : 먼저 교사가 노래를 불러주며 리듬을 익히게 한 후 리듬카드를 이용해 유아가 교사와 다른 리듬치기를 하도록 진행

   - 선율 즉흥 창작활동 : 언어의 리듬패턴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면서 리듬과 박자를 맞추어 말 노래를 창작  

   << 활동 사례 >> - 선율창작

     *  말리듬을 통한 선율창작 --> 유아들과 서로 주고받고 하는 문답놀이를 통해 자연스레 창의적으로 표현

   - 창작활동의 지도 : 노래 문답식으로 시작해서 론도 형식으로 지도하는 것이 적합

     * 론도 형식 - 전체 음악활동을 먼저 같이 하고, 돌아가면서 유아들이 새로 만들 수 있는 창작하는 것을 하나씩 더해가는 방법 (예 - A-B-A-C-A)

     * 리듬을 바꾼 노래를 음색이 다른 다양한 리듬악기로 연주해보면서 창작활동을 진행

     * 예 - 전체 - 나무악기 - 전체 - 금속악기 - 전체 - 가죽악기

  3) 악기를 통한 즉흥창작활동

   - 악기를 가지고 소리를 탐색하고 여러 음색을 만들어 보는 활동

   - 악기동화 : 악기로 다양한 음색과 리듬형태를 만들어보고, 동화를 듣고 그 느낌을 악보로 표현하는 활동

    << 활동 사례 >> -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누가 내 머리에 똥쌌어! 뮤지컬  <이미지 출처: edaily.co.kr >

     * 악기동화 창작활동

     * 의성어와 의태어에 맞게 악기를 가지고 소리 창작

     * 신체표현을 통해 음악극 활동 진행

 

  4) 신체표현을 통한 즉흥창작활동

   - 신체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창의적 신체표현 활동

   - 유아 스스로가 자유로이 음악에 맞춰서 자신의 신체동작을 통해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

   - 교사나 부모는 어떤 구조화된 지시도 하지 않고, 오로지 유아 스스로 자유로이 음악에 맞춰서 자신의 신체동작을 통해 표현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활동 사례 >> - 꽃씨의 노래

     * 신체표현을 통한 창작활동

     * 유아의 상상력이 발휘되는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중요

     * 교사가 계속 창의적인 발문을 해주고 주요부분(의성어, 의태어)의 자세한 지도 필요

     * 인내심속에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가 중요

     * 창의적 표현을 하게끔 융통성있는 태도 중요

 

  5) 음악  창작극 활동

   - 소리탐색과 창작, 노래* 악기* 신체표현을 통한 즉흥창작 활동 등 모든 활동을 통합하는 활동

   - 극의 역할을 몸으로 체험하고 친구들과 작업을 하며 음악적 개념과 사회성, 협동심을 자연스럽게 고루 발달 시킬 수 있는 방법

    << 활동 사례 >> - 소리떡

     * 음악 창작극 활동

     * 떡 만드는 과정과 음악을 만드는 과정을 연결하는 창작활동

     * 음악적 개념을 발달시키고 전통문화를 이해

 

4. 음악창작을 통한 유아음악교육의 유의점

  - 음악 창작을 통한 유아음악교육활동의 유의점

   * Eliot (유아음악 교육철학자)  : 음악적 창의성 발달 (음악 창작 교육)을 위한 6가지 원칙을 제시

     (1) 유아를 능동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2) 창작활동을 허용하는 음악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3) 다면적인 통합적 음악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4) 유아의 음악활동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장려한다.

     (5) 소리탐색과 창작활동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6) 음악교사는 음악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 무엇보다 동기유발과 유아 스스로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창작적 분위기 조성이 중요

 - 출처 : 방송통신 대학 유아음악교육 방송강의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illiant Kids

유아교육 관련 정보, 캐나다의 일상생활, 반려견 정보와 제품 구매 후기 등의 내용이 있습니다.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
유아교육 (76)
교육자료 (30)
캐나다 생활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