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주매체의 유형 

녹음반주매체

  • 컴퓨터: 소프트웨어 안에 내장된 음악듣기, CD-ROM 이용한 음악 듣기
  • CD :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로 기록하는 광디스크 

생음 반주매체 

  • 신체악기 : 손뼉치기, 휘파람 불기, 허밍, 허벅지 치기, 무릎치기, 손가락 튕기기, 발구르기, 혀차기 등 
  • 리듬악기: 모든 연령의 유아들이 즐기는 악기

       - 심벌즈 또는 손가락 심벌즈 : 지속음이나 소리 진동을 보여줄때 적당한 악기

심벌즈 (photo from 방송통신대 유아음악반주 교재)

       - 북, 봉고드럼, 콩가드럼 :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졌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한다. 행진곡에서 약박이나 크레센도등에 사용하면 효과적임.

5

봉고 드럼 (photo from 쿠팡)

       - 탬버린등 흔드는 악기 : 밝고 빠른 음악, 강하고 악센트 있는 박자 연주시 좋음

탬버린 (photo from 아이마켓)

       - 트라이앵글 : 삼각형의 금속봉을 쇠막대로 쳐서 높고 투명한 음색을 내는 악기

트라이앵글 (photo from 악기나라)

       - 마라카스와 흔들이 : 체명악기의 하나로 빠르고 밝은 음악 반주에 사용 (라틴아메리카 춤곡에 효과적)

마라카스 (photo from 쿠팡0

       - 리듬판 & 리듬막대 :하나의 막대로 다른 타악기를 두드리거나 두개의 막대로 소리를 내는 악기, 영유아에게 필수

리듬막대 (photo from 악기나라)

       - 샌드블록 & 우드블록 & 톤블럭 : 샌드블록은 스쳐지나가는 소리에 사용, 우드블록은 일정박자와 분명한 리듬표현에 적당, 톤블록은 높은 음을 낼때 사용  

샌드블럭 (photo from 에드뮤지카)

       - 캐스터네츠 : 스페인 무용음악에서 가장 많이 사용, 리듬 목적으로 사용 

캐스터네츠 (photo from 텐바이텐)

  • 국악기  

       - 꽹과리 : 소금 또는 깽쇠라 불림, 꽹과리 치는 사람은 상쇠라 부름

       - 징: 음악의 클라이막스에 연주, 지속음묘사나 진동의 의미를 보여주기에 뛰어남

       - 자바라 : 전국 무속음악권중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강원도 경상도 동부지역, 제주지역에서 중시됨, 명과 복을 빌어주는 신구 

       - 소고 : 매구북이라고 함, 농악과 민속무에 주로쓰임

       - 북 : 농악에 사용되는 악기로 북편, 채편의 가죽 구분이 없음, 농악연주시 끈을 달고 어깨에 매고 침 

  • 음판악기 

       - 목금 : 소프라노, 알토, 베이스 음역으로 나뉨, 나무음판으로 제작, 주선율 파트나 빠른 연주에 효과적

       - 철금 : 소프라노, 알토, 베이스 음역으로 나뉨, 낮은음색으로 느린리듬, 길게 지속되는 음가에 적합

       - 종금 : 높은 음색으로 소프라노, 알토 음역으로 나누어짐, 장식적 리듬, 화려함을 더해주는 파트연주에 적합

 

       - 실로폰 : 음색이 경쾌하여 트레몰로로 연주시 은은하고 조용한 맛이 남 

실로폰 (photo from 유럽악기)

  • 건반악기 

       - 피아노 : 음의 높낮이가 다름을 보여주기 유용

피아노 (photo from 나무위키)

       - 디지털피아노 : 흥겹게 연주가능,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연주 가능 

디지털 피아노 (photo from Mariam pianos)

       - 오르간 : 3개의 건반이 다른 파이프에 연결되어 다른 소리를 냄, 낮은음, 중간음, 높은음, 여러 다른 빛깔 음으로 되어 있음 

오르간 (photo from 코스모스악기)

       - 신디사이저 : 음을 합성할 수 있는 장치로, 내부음악 엔진이 들어 있음 

신디사이저 (photo from 나무위키)

       - 아코디언, 멜로디언 : 아코디언은 반음계도 자유로이 연주할 수 있는 악기, 오른쪽에 3옥타브 반에 이르는 피아노 건반, 왼쪽에 베이스라와 코드버튼이 나열되어 있음, 경음악계에서 인기있는 악기, 멜로디언은 스즈키 악기 제작소 상표명으로 영어로 멜로디카라 함. 

아코디언 (Photo from 쿠팡)
멜로디언 (photo from 나무위키)

반응형

유아에게 적합한 반주매체 

  • 악기 : 유아들의 청감각 자극, 선율의 높낮이와 음 길이, 셈여림 등을 체험할 수 있음 
  • 2세 미만의 유아 : 악기를 손으로 잡기, 팔을 양 옆으로 움직이기, 앞뒤로 움직이기, 방울 흔들기, 징글벨 흔들기 가능 
  • 2~3세 유아 : 간단한 리듬치기, 손으로 손북 치기, 리듬막대 치기 등 가능 
  • 3~4세 유아: 나무막대나 징치기, 나무판자 긁거나 치기, 모래상자, 마라카스 흔들기, 탬버린 & 종 흔들기 가능 
  • 5~6세 유아: 봉고북, 팀파니, 트라이앵글, 손가락 심벌즈 , 심벌즈 치기 가능, 한손으로 건반악기 기보드 치기 가능 
  • 7~9세 : 손가락 심벌지 치기 & 부착하기, 드럼과 북, 템플블록, 통나무 북, 목탁 콩가 손으로 치기, 실로폰 치기, 오스티나토 두개의 채로 치기가능, 키보드 양손 연주 가능, 손하프 코드 연주 가능, 리코더 불기 (솔에서 시까지 가능)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반주의 의미 

  • 노래와 악곡의 멜로디를 받쳐줌으로써 리듬 균형 유지 
  • 노래와 악곡의 선율과 화성 구성의 조화를 통한 조성의 특성 강화 
  • 노래와 악곡의 선율과 리듬관계를 이해하고 화성감 발전 
  • 단성가 다성음악을 대조해 다양한 음악적 경흠 
  • 즉흥연주방법의 반주를 통한 음악적 창의성 개발에 효율적 

반주의 역할과 준비 

  • 피아노와 음판타악기가 반주에 가장 많이 이용됨 
  • 좋은 반주자: 악보의 올바른 화성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 악곡의 음악형식에 대한 이해 필요, 동요의 내용과 분위기에 맞는 반주선택, 피아노와 음판타악기, 국악기 반주를 무리없이 할 수 있을 것 

반주의 유형 

  • 1) 가락없는 악기 반주 2) 가락있는 악기 반주 
  • 가락없는 악기 반주 : 신체악기, 리듬악기, 음판악기의 리듬반주, 국악기의 국악장단 반주 
  • 가락있는 악기반주 : 음판악기와 건반악기의 화음반주 

반주매체를 활요한 반주유형 

  • 손, 발, 무릎, 손가락등 신체 타악기 리듬반주
  • 캐스터네츠, 트라이앵글, 탬버린등 리듬 타악기 리듬반주 
  • 장구, 소고, 북, 징 등의 국악장단반주 
  • 목금, 철금, 종금등의 다양한 음색을 가진 베이스, 알토, 소프라노의 음역을 가진 음판악기의 리듬반주와 화음반주 
  • 가락반주, 피아노, 오르간 등의 건반악기 화음반주 
  • 신체악기, 리듬악기, 국악기, 음판악기, 건박악기등 의 오케스트라 혼합반주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셈여림표 (Dynamic Signature)

전반적인 셈여림표 

  • 피아니시모 ( pp) : 아주 여리게 
  • 피아노 (p) : 여리게 
  • 메조 피아노 (mezzo piano, mp) : 조금 여리게 
  • 메조 포르테 (mezzo forte, mf) : 조금 세게 
  • 포르테 (Forte, f) : 세게 
  • 포르티시포 (Fortissimo, ff) : 아주 세게 

부분적인 또는 점차적인 셈여림표 

  • 스포르찬도 (Sforzando, sf, sfz ) : 그 음을 특히 세게 
  • 악센트 (Accent, >, ∨, ∧ ) : 그 음을 특히 세게 
  • 포르찬도 (Forzando, fz) : 그 음을 특히 세게 
  • 크레센도 (Crescendo, cresc.) : 점점 세게 
  • 데크레센도 (Decrescendo, decresc. ) : 점점 여리게 
  • 디미누엔도 (Diminuendo, dim.) : 점점 여리게 

셈여림의 변화 

  • 악곡 도중 당김음, 악센트 등 혹은 센박이 쉼표인 때에 셈여림 변화가 일어남 

당김음에 의한 변화 

  • 붙임줄 사용시 센박이 여린박으로 바뀜 - 당김음 이라 함 

연주기호에 의한 변화 

  • 악센트, 스포르찬도, 포르찬도 를 사용해 그 음을 특히 세게 강조해서 셈여림 변화를 나타냄 

센박이 쉼표인 경우의 변화 

  • 센박이 쉼표이면 다음음이 센박이 됨 

빠르기표

악곡 전체의 빠르기표 

  • 그라베 (Grave) : 매우 느리고 장중하게 
  • 라르고 (Largo) : 아주 느리고 폭넓게 
  • 렌토 (Lento) : 아주 느리고 무겁게 
  • 아다지오 (Adagio) : 느리고 조용하게 
  • 안단테 (Andante) : 느린 걸음의 속도
  • 안단티노 (Andantino) : 조금 느리게, 
  • 모데라토 (Moderato) : 보통 빠르기 
  • 알레그레토 (Allegreto ) : 조금 빠르게 
  • 알레그로 (Allegro) : 빠르고 즐겁게 
  • 비보 (Vivo) : 빠르고 활발하게 
  • 비바체 (Vivace) : 아주 빠르고 경쾌하게 
  • 프레스토 (Presto) : 매우 빠르게 

악곡 도중의 빠르기 전환 

  • 리타르단도 (rit.) : 점점 느리게 
  • 랄렌탄도 (rall.) : 점점 느리게 
  • 스모르찬도 (smorz.) : 점점 느려지면서 점점 여리게 
  • 아첼레란도 (accel.) : 점점 빠르고 점점 세게 
  • 아 템포 (A tempo) : 원래 빠르기로
  • 아 템포 프리모 (A tempo primo) : 제일 처음 빠르기로 
  • 템포 루바토 (Tempo Rubato) : 전체 연주시간을 같게 하되 연주자가 빠르기를 임의로 자유롭게 

 연주기호 

  • 붙임줄 (Tie) : 같은 음에 붙은 줄, 끊지 않고 연주할 것 
  • 이음줄 (Slur) : 높이가 다른 두 음을 이어서 부드럽게 연주 
  • 레가토 (Legato) : 여러 음들을 부드럽게 이어서 연주 
  • 스타카토 (Staccato) : 여러음을 뚝뚝 끊어 연주 
  • 테누토 (Tenuto) : 음을 늘여서 충분한 길이로 연주 
  • 포르타멘토 (Portamento) : 음 사이를 끌어 올리거나 내려 연주 
  • 페르마타 (Fermata) : 음표나 쉼표 위에 붙어서 본래 길이의 2~3배 늘여 연주, 겹세로줄 위에서는 노래가 끝남을 의미 
  • 도돌이표 (Repeat Mark) : 되돌아가서 연주하라는 표
  • 다 카포 (Da Carpo, D.C.) : 처음으로 돌아가라는 뜻, 겹세로줄 위 늘임표나 피네(Fine) 에서 끝냄 
  • 달세뇨 (Dal Segno, D.S.) : 세뇨로 돌아가라는 뜻, 겹세로줄 위 늘임표나 피네(Fine)에서 끝냄 
  • 꾸밈음 (Grace Note) : 앞꾸밈음, 뒤꾸밈음, 떤꾸밈음의 세 종류가 있음 

나타냄말 

  • 아마빌레 : 사랑스럽게 
  • 칸타빌레 : 노래하듯이 
  • 콘모도 : 평온하게 
  • 콘 모토 : 감동적으로 
  • 콘 브리오 : 생기있게 
  • 콘 스피리토: 속도있게 생생하게 
  • 돌체: 아름답게  
  • 그라베 : 엄숙하게 
  • 스케르찬도 : 경쾌하게 
  • 비브라토 : 소리를 떨며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화음의 중복과 생략 

화음의 중복 

  • 중복음 : 4성부를 하기 위해 더 쓰이는 음 
  • 밑음 중복이 가장 좋음, 5음은 그 다음으로 중복 가능 
  • 주요3화음의 연결시 3음은 중복하지 않음 

화음의 중복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화음의 생략 

  • 5음을 생략하는 것이 가장 좋음 
  • 밑음은 생략하면 안됨, 3음 장3화음인지 단3화음인지 결정짓는 음으로 생략하면 안됨 

화음의 생략 (photo from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반응형

마침법과 악곡의 형식 

마침법 (Cadence) 

  • 악곡의 단락이나 끝마치는 방법 
  • 악곡을 완전히 마치는데 어떤 화음을 연결해야 할 것인지, 악곡 도중 일단 정지시 어떤 화음연결을 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말 

바른 마침 (Authentic Cadence) 

  • 악곡의 완전한 끝맺음이나 커다란 단락을 지을때 쓰이는 마침법 
  • 딸림화음이나 딸림 7 화음으로부터 으뜸화음으로 연결해서 끝내는 방식 (V → I, V7(under) → I ) 
  • 갖춘 바른 마침 (Perfect Authentic Cadence) : V → I 의 연결, 두화음 모두 밑자리 사용, 소프라노 음은 밑음으로 끝날것 
  • 못갖춘바른마침 (Imperfect Authentic Cadence) : 딸림화음이나 으뜸화음중 하나 혹은 둘 모두 자리바꿈하거나, 소프라노가 으뜸음 외의 음으로 끝날때 

반마침 (Half Cadence) 

  • 악곡도중에 쓰이는 마침법 
  • 딸림화음에서 일단 마침, 딸림화음 앞의 화음은 어떤 것이든 무방 

벗어난 마침( Plagal Cadence) 

  • 버금딸림화음에서 으뜸화음으로 연결하는 마침법 
  • 악곡이 일단 바른마침을 한 후 덧붙여지는 방식으로 사용, 반마침처럼 중간에 사용가능 
  • 찬송가의 아멘 부분에 잘 쓰임 - 아멘 마침법

거짓마침 (Deceptive Cadence) 

  • 딸림화음후 으뜸화음이 아닌 다른 화음으로 연결되는 방식
  • IV 화음을 많이 활용, 바른마침을 일시 연장하는 수단으로 사용됨 

음악의 형식 

악곡의 구성 요소 

  • 동기 (Motive) : 2마디로 이루어지는 악곡 구성요소의 최소단위
  • 작은악절 (Phrase) : 동기 2개가 모인 것, 4마디이며 악구라고도 함 
  • 큰악절 (Period) : 작은 악절 2개가 모인 것으로 8마디를 이룸, 악곡구성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 

기본악곡 형식 

  • 한도막 형식 : 작은악절 + 변화를 준 작은악절 = 큰 악절 (8마디) 1개로 이루어진 악곡 (ex. 마침노래)
  • 두도막 형식: 한도막 + 한도막 = 큰악절 2개로 이루어진 곡 (16마디) - 악상 불러일으킴 → 받아서 반복 → 대조적 발전 → 끝맺음 (4개의 작은악절의 역할) - 기승전결의 대표적 악곡형식 (a →  a' → b → a') (ex. 바이엘 48번 ) / 한개의 큰악절 A (a → a') 과 대조적인 다음 큰 악절 B (b → b') 구조곡도 많음 (ex. 보리수) 
  • 세도막 형식 : 큰악절 3개 (24마디)로 구성, 단순 가요형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 A -B - A(혹은 A')  의 디카포 형식 혹은 샌드위치 형식이라 함 
  • 작은 세도막 형식 : 작은 악절 3개가 모여 a-b-a로 만들어진 12마디 악속 - 세도막 형식의 축소판 (ex. 나무야) 
  • 겹세도막 형식 : 두도막 혹은 세도막 형식 3개가 겹진 형식 

응용악곡 형식 

  • 소나타 형식 : 세도막 형식에서 발전된 형태, 제시부 (Exposition) 에서 성격이 다른 두 주제가 제시되는 부분으로 제 1주제가 장조면, 제 2주제는 딸림조, 제 1주제가 단조면 제 2주제는 나란한 장조가 됨, 발전부(Development) 에서는 제시부에서 제시된 주제를 발전시키는 부분으로 작곡자의 역량이 가장 많이 발휘됨, 재현부(Recapitulation)에서는 제시부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나, 제 1주제가 장조면 제 2주제는 같은 장조, 제 1주제가 단조면 제 2주제는 같은 으뜸음조가 됨, 끝 부분은 종결악절 (Coda)가 따름, 제시부 앞에 서주부(Introduction)을 두어 곡 분위기나 주제 암시하는 구실을 하기도 함. 
  • 론도형식 : 기본 주제가 악곡 전체에 되풀이되는 형식, 반복되는 동안 대조되는 제2주제를 끼워 연주하는 형식으로 크게 세도막형식, 고전파 시대에 완성되어 독립적으로 혹은 소나타의 마지막 악장에 사용 
  • 카논 형식 : 16~17세기 경 성행한 형식으로 두 성부 이상의 멜로디가 복합적인 작곡기법, 멜로디 모방진행되는 악곡형식
  • 푸가 형식 : 대위법적 다성음악의 완전 형식, 카논형식의 발전형식으로 간주곡, 전개부분 포함, 발전부는 주제다음에 딸림조 응답이 따르며 자유로운 모방으로 이끌어가고, 발전부 이후 경과구를 거쳐 다시 제 2발전부로 진행 
  • 변주곡 형식 : 가요형식의 멜로디, 화성, 리듬, 박자, 템포, 조 등을 변화시켜 나가는 형식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화음 밖의 음 - 안어울림음들 

 

지남음 

  • 높이가 다른 두개의 화성음 사이에 음계적 순차진행으로 연결지어주는 음 
  • 주로 약박에 쓰임 
  • 경과음 이라고도 함 

지남음 (Photo from 나무위키)

걸림음 

  • 화음이 다음 화음으로 이동할 때 그 화음 중 한 개나 두개 음이 다음 화음으로 진행해 안어울림화음을 만드는 음
  • 계류음이라고도 함 
  • 앞선음과 반대되는 현상 

계류음 (photo from 나무위키)

바꿔지남음 

  • 걸림음의 경우에서 예비음을 없앤 것 
  • 화음중 어느 한 음의 위나 아래에 2도 음정이 음이 갑자기 강박에 나타나는 것 
  • 2도 하행 혹은 상행해 해결 
  • 전과음이라고도 함 

도움음 

  • 화성음에서 일단 약박의 화음 밖의 음으로 나갔다가 곧바로 다시 화성음으로 돌아가는 음 
  • 보조음이라고도 함 
  • 주로 약박에 쓰임 

보조음 (photo from 나무위키)

앞선음 

  • 걸림음과 정반대
  • 뒤에 이어지는 화음중 한 음이 약박에 다른 화음의 음보다 조금 먼저 나타나 안어울림화음을 이루는 것 
  • 선행음이라고도 함 

선행음 (photo from 나무위키)

화음의 연결 

주요3화음의 연결 

  • I → IV
  • IV
  • I   V 
  • V   I 
  • IV   V 
  • V   IV 

두 화음사이에 공통음이 있을 때

  • 먼저 공통되는 음을 찾아내고 그 음들은 같은 음높이에 진행 
  • 공통음 나머지음들은 조용히 가까운 성음으로 진행 

두 화음사이에 공통음이 없을 때

  • 버금딸림과 딸림화음 - 공통음 없음   1) 두 화음 사이에 으뜸화음을 넣어 화음연결하는 방법 2) V 화음을 IV 화음보다 하행진행하는 방법 3) 4성음 연결의 경우 베이스 성부는 상행진행, 상3성을 반진행 하는 방법 

주요3화음과 딸림7화음의 연결

  • 딸림7화음 - 주요3화음의 3가지 화음과 공통음을 가짐 - 공통음을 가진 화음의 연결 원칙에 따라 진행 
  • 딸림7화음의 3성부 연결시 주로 5음을 생략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딸림 7화음 

  • 3화음 위에 다시 3도 음정을 쌓으면 밑음부터 7도 음정이 만들어짐 - 7화음 , 7의 화음 이라 함 
  • 밑음, 3음, 5음, 7음 4개의 음으로 구성 - 4화음 (four-tone chord) 이라고 부름 

딸림 7 화음 

  • 딸림 3화음 (V) (장화음) 위에 단 7도 음을 덧붙인 화음 => 딸림 7화음, 딸림 7의 화음 이라 함 
  • 단7도음정과 감5도 음정을 포함 --> 안어울림화음 
  • 화음기호 -V7(under) 사용

  • 딸림7화음 이외의 7화음들은 모두 버금 7화음이라고 함

안어울림화음의 해결 

  • 감3화음, 중3화음 을 비롯해 어떤 7의 화음도 모두 안어울림 화음 
  • 안어울림화음다음 바로 어울림화음을 연결하는 것을 안어울림화음의 해결이라 함 

딸림7화음의 해결 

  • 딸림 7 화음의 구성요소중 단7도와 감5도의 안어울림음정 포함 
  • 딸림7화음의 해결 - 으뜸화음 (I) 으로 해결 : 딸림7화음의 제3음인 이끔음을 으뜸화음의 밑음으로 진행 시켜 해결
  • 3화음과 연결할때 5음(Re) 를 생략 하고 1도, 3도, 5도 인 솔시파 사용 

딸림7화음의 으뜸화음으로의 해결 (photo from 방송통신대 유아음악반주 교재)

반응형

딸림7화음의 자리바꿈 

첫째자리바꿈 

  • 제 3음이 가장 낮은 음이 되는 것 - 3도, 5도, 6도 가 됨 
  • 딸림 3·5·6의 화음 - 생략해서 딸림 5·6의 화음이라고 함 
  • 화음 기호 : V6(upper) 5 (under) - 오도의 오륙화음 이라고 읽음

오도의 오륙화음

 

둘째자리 바꿈 

  • 제 5음이 가장 낮은 음이 되는 것 - 3도, 4도, 6도 
  • 딸림  3·4·6 화음 - 생략해서 딸림  3·4 화음 이라 함 
  • 화음기호 : V4(upper) 3 (under) - 오도의 삼사화음 이라고 읽음 

오도의 삼사화음

셋째자리바꿈 

  • 제 7음이 가장 낮은 음 - 7음부터 세면 2도, 4도, 6도 
  • 딸림  2·4·6 화음 - 생략해서 딸림 2의 화음 이라고 함 
  • 화음기호 : V2(under) - 오도의 이화음이라고 읽음 

오도의 이화음
딸림7화음의 셋째자리바꿈 (photo from 방송통신대 유아음악반주 교재)

<출처: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728x90

+ Recent posts